제30회공연 <영국 왕 엘리자베스>(Elizabeth Rex)
-2009 Seoul First Play Festival

2009.3.26-4.5
우석레퍼토리 극장

"자,
다시 멋진 하룻밤을 보냅시다.
비탄에 젖은 부대장들을 전부 불러주시오.
한번 술잔을 기울이면서 심야의 종소리를 비웃어 봅시다."

-윌리엄 셰익스피어 <안토니와 클레오파트라> 3막 13장

작가 티모시 핀들리(Timothy Findley)
1930년 캐나다 토론토 출생으로 소설가, 배우, 극작가로 활동했고, 2002년 프랑스 프로방스에서 세상을 떠났다. 처음 배우로 활동했을 때 스트랫포드 셰익스피어 페스티벌(1953)의 창립위원이었고 손톤 와일더의 <중매인>(1954) 초연에 출연했다.
첫 번째 소설 <미친 사람들의 마지막>(1967)은 캐나다 출판사들이 출판을 거부해서 영국과 미국에서 출판되었지만, <전쟁들>(1977)은 비평가들로부터 높은 찬사를 받으며 1981년 영화화되었고 캐나다 최고의 권위를 자랑하는 총독문학상을 수상했다. 희곡으로는 <Can You See Me Yet?>(1976), <The Stillborn Lover>(1993) 등이 있고 마지막 희곡 <영국 왕 엘리자베스>(2002)로 총독문학상을 다시 한번 더 수상했다. 그리고 <The Trials of Ezra Pound>(2001)는 스트랫포드 페스티벌에서 초연되었고 <Shadows>(2002)는 스튜디오 씨어터에서 무대화되었다.

작품소개
"네가 날 여자가 되도록 가르친다면... 난 널 남자가 되도록 가르치겠다."

역사속의 위대한 두 주인공을 함께 불러 무대에 등장시킨다.
1601년 사순절의 첫날인 성회일 전날 밤, 작은 헛간에서 <헛소동> 공연을 마친 윌리엄 셰익스피어와 챔벌린 극단은 초라한 숙소에 어울리지 않는 방문객을 맞는다. 자신의 연인이었던 에식스 백작의 처형 전날 밤 잠을 이룰 수 없는 엘리자베스 여왕은 밤을 지새우려고 그곳에 찾아온다. 여왕의 방문은 예리한 재치와 날카로운 통찰력을 가진 극단의 뛰어난 여자역할 배우 네드 로웬스크로프트를 자극하고 젊은 극작가 셰익스피어의 상상력을 고무시킨다. 긴 밤을 보내며 격한 논쟁 속에서 배우, 여왕, 그리고 극작가는 자신이 연기했던 역할과 삶을 마주하며 정체성, 성, 그리고 사랑에 관한 질문들과 씨름한다. 무엇이 남자를 남자로 만들고, 또한 여자를 여자로 만드는가?


photo gallery

작: 티모시 핀들리
번역/연출: 오경숙

출연:
김현아: 엘리자베스
정성호: 윌
이호협: 네드
김수진: 타디
이재훈: 퍼시
황대현: 루디
김민정: 헨슬로
김용선: 세실
김형기: 잭
윤종훈: 해리
서재영: 톰
손민효: 맷/곰
조정원: 맷/곰
이화정: 스탠리
오미영: 헨슬로 언더스타디
이현경: 타디 언더스타디
정아영: 헨슬로 언더스타디

조연출: 강은정
무대디자인: 박장렬
조명디자인: 김철희
의상디자인: 정현정
음향디자인: 서재영
안무: 김민정
사진: 김명집
분장: 오미영
무대감독: 조정원
소품: 손민효
조명오퍼: 이현경
음향오퍼: 정아영
음향자문: 최혁준, 정마리

   
 
 
 

 

   Repertory 2005 ~ 2010
31. <2009
뮈토스 퍼포먼스 프로젝트>
30. <Elizabeth Rex>
29. <2008
뮈토스 퍼포먼스 프로젝트>
28. <Cleansed>
27. <Request Concert>
26. <소설 Juice> 
25. <소설 Juice>
24. <뮈토스 3부작>